쓰레기 섬. 미국의 하와이와 캘리포니아 사이에 있는 북태평양 바다 위의 거대한 쓰레기 더미를 일컫는 것으로, ‘태평양 거대 쓰레기 지대라고도 불린다. 2018년 비영리 연구단체에서 연구한 결과 쓰레기 섬에는 무게는 약 8만톤·약 1조 8000억개의 플라스틱 쓰레기가 쌓여있다고 하며, 현재 쓰레기 섬은 북태평양 상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북대서양, 남대서양, 인도양, 남태평양에도 또 다른 쓰레기 섬이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이 확인되고 있다. 저 섬에 내가 버린 쓰레기가 못해도 하나쯤은 있지 않을까. 그 쓰레기가 섬 크기를 키우고 물고기에게 플라스틱 양분을 준다. 그리고 쑥쑥 자라서 다시 나에게 양분으로 돌아온다. 식탁에 플라스틱 반찬이 올라왔지만 내가 자초한 일인데 누구를 탓하겠는가. 동 주민센터에서 환경업무를 수행하다 보니 이런 곳에 쓰레기를 꼭 버려야 하나 싶을 만큼 다양한 곳에 다양한 쓰레기를 접하게 된다. 무심코 길가에 쓰레기를 버리지는 않는지, 아무도 보지 않는다고 쓰레기를 바다에 빠트리지는 않는지, 보이지 않는 나무 사이로 각종 폐기물을 숨기지는 않는지 우리 스스로를 돌아봐야 할 때인듯하다. 며칠 전부터 강화되어 적용된 1회용품 사용규제도 우리의 삶
식품업계에서 투명 폐페트병으로 제작한 친환경 유니폼을 직원들에게 지급했다는 뉴스를 봤다. 어떤 업체는 500mL 투명페트병 약 1만 4,700개를 재활용해서 유니폼 약 2,100벌을, 어떤 업체는 500mL 투명페트병 약 6만 4천 개를 재활용해서 유니폼 약 5천 벌을. 유니폼 한 벌에 들어간 투명페트병을 개수를 계산해보면 유니폼 한 벌에 각각 7개, 12.8개가 사용된 것이다. 우리가 무심코 버리는 페트병 몇 개가 새롭게 탄생한 것이다. 국내 플라스틱 재활용은 혼합 배출로 인해 고품질 재활용품 생산이 제한적이었고, 부족한 고품질 재활용 원료 확보를 위해 연 7만 8천 톤 이상의 폐페트 및 재생 원료를 수입했다고 한다. 이에 따라 수입 원료를 대체할 수 있는 국내 재활용 원료를 확보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2020년 2월부터 환경부에서 음료·생수 무색페트병을 타 플라스틱과 구분하여 별도 배출하는 ‘페트병 별도 배출 시범사업’을 시행하였고, 제주특별자치도는 재활용품 요일별 배출제와 연계하여 2021년 12월 25일부터 투명페트병 별도 배출을 전면적으로 시행하였다. 투명페트병을 배출할 때는 내용물은 비우고, 라벨(비닐류로 재활용)을 제거한 후에 압착하고 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