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기고] 청렴의 비석
공직자들에게 있어 청렴에 대한 중요성은 언제나 강조되지만, 실천하기 힘든 가치이다. 뉴스와 언론에서는 청렴하지 못한 공무원들의 행위가 꾸준히 보도되고 있으며, 이는 공직자들에 대한 불신과 비난으로 돌아오고 있다. 청렴해지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청렴하고자 하는 나 혼자만의 다짐, 절제로만 가능하지 않고, 쌓여온 관행까지 끊어낼 수 있는 용기가 필요하다. 다음은 과거 청렴한 공직자의 모습을 잘 보여주는 일화이다. 고려말 순천의 부사로 부임했던 최석은, 3년동안 부임 후, 임기를 마치고 개경으로 복귀하였다. 복귀 당시 순천의 말 8마리와 함께 복귀하였는데, 이는 순천에 부사가 임기가 끝날 때 말을 바치는 관행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는 개경 복귀 즉시 말이 실은 짐만 정리하고, 말 8마리를 돌려보냄과 동시에, 자신의 암말이 낳은 망아지까지 함께 보냈다. 망아지 까지 돌려보낸 이유는, 부임기간동안 자신의 암말이 순천의 녹을 먹고 낳았기 때문에, 그 망아지 역시 순천의 것이라는 까닭이다. 이에 감동한 순천 백성들은 팔마비를 세워 최석을 기리게 되었으며, 이날 이후 말을 바치는 관행또한 사라졌다고 한다. 오랜시간이 지난 후, 조선시절 타 지역에서 순천으로 말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