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기고] ‘청렴’한 행정은 선진 공직자의 화룡점정!
근래에 들어 마음을 부풀어 오르게 한 일을 묻는다면 나는 우리나라가 선진국 대열에 합류한 것을 꼽을 것이다. 지난해 7월 유엔무역개발회의(UNCTAD)는 대한민국의 지위를 개발도상국에서 선진국으로 승격시켰다. 1950년대만 해도 세계 최빈국이었던 대한민국이 70년 만에 선진국 대열에 공식적으로 합류하게 된 것이다. 1964년 유엔무역개발회의가 만들어진 이래 개발도상국에서 선진국 그룹으로 지위가 격상된 나라는 한국이 처음이라고 하니 자부심을 가져도 될 것이다. 국제투명성기구(TI)가 발표하는 국가별 청렴도 인식인 ‘부패인식지수(CPI)’는 공무원·정치인의 부패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척도이다. 흥미로운 것은 CPI와 경제 수준은 반비례한다는 여러 조사와 주장이다. 주요 선진국에 속하는 국사들은 CPI가 낮은 데 반해, 아프리카 최빈국의 CPI는 현저히 높게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다. 한국 행정학회는 국가 청렴도가 1점 상승하면 1인당 국민소득이 4,713달러 늘어난다고 전망하기도 했다. 그런데 한편으로는 우리 행정이 선진국에 걸맞는 의식과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지 겸허하게 돌아보게 된다. 과거 무능과 부패라는 오명이 행정과 공무원 사회에 씌워졌던 것은 부정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