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기고] 디지털 격차 해소, 친절이 답이다
코로나19와 각종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비대면 상황에서 안전하고 편리한 생활이 되도록 도움을 준다. 하지만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는 환경으로 불편을 겪는 어르신들에 관한 사례와 이를 해소하기 위한 교육의 필요성은 각종 매체를 통해 많이 보도되고 있으며, 생활 속 디지털 기계앞에서 겪는 어르신들의 불편한 상황 또한 종종 목격할 수 있다. 지난 5월 17일에 서울디지털재단에서 발표한 서울시민 5천 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디지털 역량 실태조사’에 따르면 55살 이상 서울시민 중 키오스크를 이용한 적이 있는 이는 절반(45.8%)에도 미치지 못했다. 55살 미만 서울시민 대부분(94.1%)이 키오스크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것과 대비된다. 특히 고령층 안에서도 연령대에 따라 격차가 두드러졌다. 55~64세는 68.9%인 반면 65~74세는 29.4%, 75세 이상은 13.8%만이 키오스크 이용 경험이 있다고 답했으며 고령층이 키오스크를 이용하지 않는 이유는 ‘사용 방법을 모르거나 어려워서’(33.8%), ‘필요가 없어서’(29.4%), ‘뒷사람 눈치가 보여서’(17.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서울시보다 고령화가 진행된 서귀포시에서 더욱 어르신들의 디지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