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기고] 공직사회 부패인식 국민의 눈높이로
2021년도 부패인식도 조사 결과에 따르면 ‘공무원이 부패하다(매우 부패+부패한 편)’는 응답이 공무원은 2.9%인 반면, 일반 국민은 49.8%로 공직사회에 대한 부패인식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같은 사회를 살아가고 있는 국민과 공직자가 왜 이렇게 공직사회의 청렴 수준에 대해 큰 인식 차이를 보이는 것일까? 일반 국민의 경우 언론상에 보도되는 일부 공무원들의 부패사건을 공직사회 전체의 문제로 인식하여 실제 부패 현상보다 훨씬 더 부패하다고 과장되게 반응했을 수 있다. 반면 공직자의 경우 조직 방어적 차원에서 실제보다 부패 현상에 대해 과소평가했을 수 있다. 이외에도 여러 이유가 있을 수는 있지만, 부패 또는 청렴에 대해 인식하는 관점의 차이가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싶다. 공직자의 경우 주로 법이나 규정에 따라 업무를 준수하게 되면 청렴하다고 생각한다. 즉, 부패방지권익위법 등 규정에 맞게 처리하면 나의 업무 청렴도는 괜찮다고 생각하게 된다. 이에 반해 일반 국민의 경우 법률이나 규정을 잘 준수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며, 그 이외의 공익에 반하는 행위인 비윤리적이거나 불공정한 행위까지도 부패한 행위로 인식하게 된다. 최근에는 고객 만족의 관점에서 불친절한 행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