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기고] 제주 바다에서 ‘남방큰돌고래’가 사라지면 어떻게 될까?
“해양 쓰레기를 줄여야 바다가 산다.” 국내에서 유일하게 제주 바다에 정착해 사는 남방큰돌고래가 생존 위협을 받고 있다는 사실 알고 계십니까? 2019년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은 제주 연안에 사는 남방큰돌고래를 적색목록상 준위협종으로 분류했고, 남방큰돌고래가 멸종 위기 직전의 상태 또는 보호조치가 중단될 경우 멸종 위기에 처하게 될 수 있다는 위험성을 경고했다. 남방큰돌고래의 생존을 위협하는 원인으로 크게 2가지가 있다. 우선 ‘돌고래 관광 등 인간 활동에 의한 서식지 교란’의 증가가 있다. 코로나19로 제주를 찾는 관광객이 늘어나면서 돌고래 관광 또한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돌고래 관광은 관광용 선박의 위험 요소나 운행 중에 발생하는 소음 등의 인위적인 요인으로 고래의 서식지를 교란하는 위험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제주 바다의 해상교통량 증가와 함께 다양한 개발 사업이 진행되고 있어 돌고래와 선박과의 충돌 위험을 높이고 해상풍력발전기의 저주파 소음은 남방큰돌고래의 생존에 위협을 주고 있다. 다음으로 ‘돌고래 혼획’의 증가가 있다. 돌고래류에 있어서 ‘혼획’(원래 목적했던 어종이 아닌 다른 생물이 섞여 잡히는 것)으로 인해 자원량 감소가 두드러지게 나타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