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8 (금)

  • 맑음서울 31.7℃
  • 흐림제주 26.8℃
  • 구름많음고산 22.7℃
  • 구름많음성산 24.9℃
  • 흐림서귀포 25.5℃
기상청 제공

경제


제주 월동무, 한여름 해외 소비자 식탁에 오른다

제주RIS, 지역혁신자율과제 운영 통해 ‘월동무 산업 고도화 기술’ 성과

 

 

[제주교통복지신문 민진수 기자]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RIS)’을 통해 월동무 저장기술이 개발되면서 눈길을 끌고 있다.

 

해마다 반복되는 월동채소 과잉생산과 가격변동 등 제주지역 1차산업 현안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제주지역혁신플랫폼(은 농어업인 소득증대를 위한 지역혁신자율과제인 ‘데이터 기반 제주월동무 산업 고도화 기술 개발’의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과제는 제주RIS의 지원을 받은 ㈜오존에이드(대표 홍명기)가 제주테크노파크, 제주대학교, 대모루영농조합법인(대표 고종필), 농업회사법인 제주쿱후레쉬(대표 임현진)와 협업해 진행됐다.

 

협업을 통해 겨울철에 재배한 월동무를 여름철까지 저장할 수 있는 기술인 ‘PA솔루션’을 개발했다.

 

오존에이드 등에 따르면 ‘PA솔루션’은 플라즈마를 통해 공기 중 산소와 질소를 활성화하고, 센서와 ICT 기술을 융합해 저장환경을 해석해 제어하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농산물의 이병 방지, 부패율 저감, 노화 지연 효과로 농산물 저장성 개선이 가능하다.

 

실제 이 기술을 올해산 월동무에 시험 적용한 결과 경도와 당도 등 품질과 신선도가 우수한 상태로 유지됐고, 여름철에도 월동무를 베트남 등 해외에 수출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과제에 함께 참여한 제주대학교 김창숙·박성수 교수팀은 “플라즈마를 이용한 공기활성종에는 활성산소와 활성질소가 있고, 이 두 활성종은 식물체 대사에 관여해 여러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며 “특히 대량으로 생산하는 배추, 무, 양파 등 가공용 농산물은 저장성 개선 효과가 있다”고 설명했다.

 

홍명기 오존에이드 대표는 “제주월동무의 우수한 품질과 농민들의 노력이 바탕이 되어 새로운 저장기술 개발이라는 성과를 만들게 됐다”고 말했다.

 

고종필 대모루영농조합법인 대표는 “올 겨울 비가 많이 내려 월동무 작황이 좋지 않고 저장성도 떨어져 출하가 조기에 종료됐는데 이번 저장 기술 적용을 통해 겨울철 홍수 출하될 월동무를 여름철에 분산 출하할 수 있게 돼 가격안정과 수익성 개선에 큰 도움이 되고 있다”고 밝혔다.

 

임현진 제주쿱후레쉬 대표는 “장마 시작과 함께 제주 월동무가 희소해지면서 신선 저장기술로 월동무 시장가치가 올라 4월보다 높은 가격으로 수출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에 우선 베트남으로 월동무 수출이 이뤄지고 있고, 미국과 캐나다에서도 수출 요청이 쇄도하고 있다”며 “내년에는 베트남 외 동남아와 미주시장의 수출 확대가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이번 기술을 시험 적용해 월동무 200t이 저장됐고, 지난 27일 먼저 20t에 대해 베트남 수출선적이 완료됐다.

 

김미영 제주지역혁신플랫폼 부센터장은 “RIS사업을 기반으로 제주 월동채소와 과수산업의 기술혁신과 고도화에 밑바탕이 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한편 제주특별자치도에 따르면 2023년 제주산 월동무 재배면적은 5091ha, 생산량은 35만4000t(예상)이다.

 

적정 재배면적(4500ha)을 웃돌고, 경치침체에 따른 소비부진과 국내 가격하락 등으로 농가들이 어려움을 겪었다.


추천 비추천
추천
0명
0%
비추천
0명
0%

총 0명 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