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11 (화)

  • 연무서울 29.7℃
  • 구름많음제주 23.9℃
  • 구름많음고산 22.2℃
  • 구름많음성산 23.1℃
  • 구름많음서귀포 25.2℃
기상청 제공

전국/경제이슈


‘새만금 신 성장 미래 먹거리 – 글로벌 식품허브’조성에 전문가 힘 모아

‘새만금 식품허브 구축 사업모델’ 개발 전문가 자문회의 개최

 

 

[제주교통복지신문 송한신 기자] 새만금개발청은 6월 11일 '새만금 식품허브 투자 활성화를 위한 사업모델 구상」 정책연구용역을 통해 마련된 중간결과에 대해 전문가 자문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자문회의에는 대통령소속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 새만금 미래전략 포럼, 새만금기본계획 식품분과 자문단 등 농수산·식품 관련 민간위원과 기업인 뿐만 아니라, ‘새만금 글로벌 식품허브’를 지원하고 있는 전북자치도 등 관계기관도 참여했다.

 

이번 자문회의는 새만금의 미래 먹거리가 될 글로벌 식품허브의 본격적인 추진에 앞서, 농식품 관련 연구개발(R&D)에서 산업화까지 밸류체인(가치사슬) 전 분야의 전문가 의견을 듣고자 마련했다.

 

새만금개발청은 새로운 미래 먹거리로서 경쟁력 있는 농식품 사업 모델을 발굴하고, 산업 인프라를 구축하는 기반을 마련해 나갈 계획으로, 지난 5월에는 세계 최고의 농생명 연구기관인 네덜란드 와게닝겐 대학 푸드바이오연구소와 새만금 글로벌 식품허브 조성 파트너십을 형성하는 업무협약도 체결한바 있다.

 

특히, 농림축산식품부와 전북자치도에서도 ‘새만금 글로벌 식품허브 구축’을 위해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별도의 전문용역도 수행하고 있다.

 

자문위원들은 “새만금의 우수한 물류 인프라(공항·철도·항만)를 기반으로 농식품 수출·가공단지와 신항만과 배후부지에 콜드체인(저온유통)을 구축하여 운영하는 등 차별화 전략이 필요하다”라고 제안했다.

 

특히, 농식품 기업도 다각적으로 농생명용지를 활용 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적 지원과 파격적 인센티브 제공으로 기업 친화적인 지역으로 탈바꿈 시켜야한다는 적극적인 의견도 나왔다.

 

아울러, △광활한 농생명용지를 보유하며, △전북자치도 내 연구기관 등과 연계한 식품산업 활성화 잠재력이 있어, 새만금이 동북아 식품무역의 중심지로 성장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 공감했다.

 

새만금에 식품기업 유치가 사업 성공의 중요한 요인이기 때문에 유치업종 다변화(펫푸드 등)와 함께, 장기적으로 중계무역까지 고려한 국가 차원의 식품 산업을 육성하는 구체적 계획도 주문했다.

 

김경안 새만금개발청장은 “새만금은 식품산업 관련 잠재적 성장 가능성이 매우 높은 만큼, 농림축산식품부·전북자치도 등과 함께 글로벌 식품허브 조성 기반을 다져 나가 투자유치 경쟁력을 더욱 강화하겠다.”라면서, “앞으로도 다양한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면서, 글로벌 식품산업 육성에 성공적으로 첫 발을 내디딜 수 있게 하겠다.”라고 밝혔다.


추천 비추천
추천
0명
0%
비추천
0명
0%

총 0명 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