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교통복지신문 이소민 기자] 코로나19 기존 변이보다 전파력이 빠르고 면역회피 특성이 강한 BA.5 변이가 국내에서 검출률 70%에 육박해 공식적 우세종이 됐다.
2일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7월 4주차 국내 감염 주요 변이 바이러스 검출률 분석에서 BA.5 변이의 검출률은 국내감염과 해외유입을 더해 66.8%로 나타났다.
BA.5 변이 첫 감염자가 발생(5월 12일)했던 5월 2주차 이후 우세종이 되기까지 걸린 기간은 11주다.
일주일 만에 검출률이 10%p 이상 급증한 점도 눈에 띈다. BA.5 변이의 전체 검출률은 전주 56.3%에서 66.8%로 일주일 만에 10.5%p 증가했다. 해외유입을 뺀 국내감염 BA.5 변이 검출률은 60.9%로, 전주(49.1%)보다 11.8%p 높아졌다. BA.5 변이의 해외유입 검출률은 73.3%에서 79.4%로 증가했다.
그간 방역당국은 국내감염 검출률이 50%를 초과할 때 우세종으로 올라섰다고 판단해 왔다.
앞서 델타 변이의 경우 지난해 4월 29일 국내 첫 감염 확인 후 14주만인 지난해 7월 4주차에 우세종으로 올라섰다. 오미크론 변이(BA.1 변이)의 경우 지난해 12월 1일 첫 감염이 확인된 이후 8주만인 지난 1월 3주차에 우세종을 차지했다.
방역당국은 BA.5 변이의 전파 속도가 빠르다고 지적했다. 면역 회피 특성 때문이다. 다만 중증도가 더 높지는 않다고 분석했다.
임숙영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 상황총괄단장은 “BA.5 변이는 (전파) 속도는 빠른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면서 “면역을 회피하는 성향이 있다. 이것 때문에 전파력이 빨라지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중증도는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지 않았다. 임상 증상도 하위 변이여서 오미크론과 유사한 것으로 생각한다”면서 “임상 증상 차이는 계속 모니터링 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코로나19 재확산세가 이어지면서 이날 전국에서 11만1000명대의 신규 확진자가 발생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이날 0시 기준으로 코로나19 확진자가 11만1789명 늘어 누적 1993만2439명이 됐다고 밝혔다. 신규 확진자 수가 11만명을 넘은 것은 이번 재유행 이후 처음이다.
제주교통복지신문, TW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