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협착증은 허리에 발병하는 대표적인 질환이라고 볼 수 있다. 이 질환은 대부분 60~70대 이상의 연령대에서 나타나는 편이지만 최근에는 운동 부족 및 생활 습관 변화 등으로 인해 발병 연령이 점차 낮아지는 추세다.
척추협착증은 척추관 주변의 조직들이 척추관을 압박하여 통증을 만들어내는 질환이다. 퇴행성변화로 인해 두꺼워지고 비대해진 구조물들이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인 척추관을 압박하는데, 허리를 젖히는 동작을 하면 통증이 악화하는 경향을 보인다. 또한 보행 시 종아리가 마치 터질 것 같은 통증이 느껴져 단 5분조차도 걷는 것이 어려워질 수 있다.
증세가 비교적 경미한 환자는 약물요법과 물리치료 등의 비수술 치료를 통해 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 그렇지만 통증이 심한 편이라면 척추신경의 부기를 줄이고 신경에 유착된 주변을 박리하는 신경 박리시술도 고려된다.
척추협착증이 심할 때는 간혹 낭종이 동반되는 경우가 있다. 낭종이 생기면 신경이 더 많이 눌리고, 자극도 심해지기 때문에 통증이 극심해진다. 이런 경우 대부분은 치료해도 효과가 없기 때문에 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
또한 척추협착증 증상이 심하다면 신경이 손상되기 전에 수술받는 것이 좋다. 시기를 놓치면 수술이 잘 되어도 후유증이 남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수술 후에는 드물게 혈종, 감염, 불안정증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치료 전에는 전문의와의 충분한 상담이 중요하다.
평지에서 빠르게 걷는 운동을 꾸준히 하는 것이 척추협착증 호전에 도움이 된다. 빠르게 걸으면 허리가 자연스럽게 뒤로 젖혀지면서 척추 신전근이 강화되기 때문이다. 만약 통증이 심해 오래 걷는 것이 어렵다면 짧게 나눠서 걸어야 한다. 통증을 억지로 참고 걷다가는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 이 칼럼은 이동엽 잠실 선수촌병원 신경외과 원장의 기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