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9.24 (일)

  • 흐림서울 26.1℃
  • 구름많음제주 25.6℃
  • 구름많음고산 26.8℃
  • 구름많음성산 25.3℃
  • 구름많음서귀포 25.7℃
기상청 제공

정보


다리부종 및 저림, 하지정맥류 증상 의심된다면 면밀한 진단 필요

 

현대 사회에는 하루 종일 앉아서 업무를 보는 사람들이 많다. 이 경우 다리가 쉽게 붓고, 저리는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 이는 혈액순환이 제대로 되지 않을 때 유발되는 증상들로, 자다가 다리 쥐가 유발해 깨어나기도 하는 등 다양한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다리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않게 되면 몸이 붓는 현상인 부종이 유발되기 쉽다. 다리 부종은 혈액이 중력을 거슬러 심장 쪽으로 올라오지 못하고 다리 끝으로 몰리면서 순환에 문제가 일어나는 것을 말한다. 문제는 이러한 다리 부종 및 저림이 반복되면 하지정맥류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하지정맥류는 다리 정맥 내부에서 혈액의 역류를 막아주는 판막이 손상돼 나타나는 질환이다. 판막이 손상되면 심장으로 올라가야 할 혈액이 역류하게 되고, 이로 인해 다리 부종 및 저림 등 각종 증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정맥의 순환 문제로 인해 발병하기 때문에 오래 서 있는 습관을 지속하거나 노화, 운동 부족, 복부비만, 임신 등 하체 혈액순환을 방해할 수 있는 요인들에 지속해서 노출되면 혈액순환 장애가 일어나 부담이 커져 판막이 망가지기 쉽다. 

 

초기에는 다리가 붓거나 저릴 수 있으며 종아리 및 허벅지 통증이나 수족냉증 증상, 근육통, 가려움증 등의 증상을 호소할 수 있다. 다리 혈관이 돌출된 모습도 흔히 찾아볼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 잠복성의 형태로 유발되기도 해 주의가 필요하다. 잠복성 하지정맥류는 겉으로 보기에는 정상적인 다리와 큰 차이가 없지만, 피부 안쪽의 혈관이 부풀어 올라 기능이 저하되거나 상실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다리 혈관이 돌출돼 보이지 않더라도 다리 통증, 쥐 내림, 야간 근육경련, 다리가 찌릿찌릿한 느낌이 지속해서 느껴진다면 증상을 의심해볼 필요가 있다. 

 

잠복성의 형태를 정확하게 확인하기 위해서는 혈관 초음파 검사를 시행해 볼 필요가 있다. 이는 도플러 영상을 통해 혈관의 역류 상태와 위치, 역류 위치 등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문제 혈관 부위를 찾아내 환자의 건강 상태에 따른 치료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치료는 진단 결과에 따라 적용해볼 수 있다. 증상의 정도가 심하지 않을 때에는 의료용 압박스타킹 또는 정맥순환개선제를 활용할 수 있지만, 혈관이 피부 겉으로 돌출된 모세혈관확장증에는 혈관경화요법을 시행해볼 수 있다. 

 

만약, 혈관 초음파 검사상 혈액의 역류가 심한 상태라면 혈관을 폐쇄하는 수술이 필요하다. 종류로는 고주파나 레이저, 베나실, 클라리베인이 있다. 

 

수술 후 관리 및 예방을 하는 것도 중요하다. 수술 후에도 미세혈관까지 섬세하게 관찰하고 치료해야 한다. 또한 1~2년에 한 번씩 정기적으로 검진을 통해 하지정맥 치료 부위에 신생혈관이나 새로운 역류가 생기지 않았는지 관찰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 밖에도 예방을 위해 평소 종아리 근육 수축 운동 및 하체 혈액순환을 돕는 가벼운 걷기, 수영, 스트레칭 등을 하는 것이 좋다. 혈관 건강에 악영향을 끼치는 인스턴트 음식이나 기름진 음식은 자제하고 야채, 과일 섭취 등 건강한 식습관을 만들어가는 것도 필요하다.   
  
(* 이 칼럼은 김현수 참편한하지외과의원 원장의 기고입니다.)


추천 비추천
추천
0명
0%
비추천
0명
0%

총 0명 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