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릎에 발생하는 퇴행성관절염은 무릎 연골이 손상되면서 나타나는 노인성 관절질환이라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 65세 이상 인구의 약 80%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무릎퇴행성관절염으로 인해 치료를 받는 사람들도 점점 증가하는 추세라고 한다. 이 질환은 심한 무릎통증으로 인해 삶의 질을 저하하는 주범으로 꼽힌다. 무릎통증으로 거동이 불편해진 사람들은 우울감이나 무력감에 빠지기 쉬우므로 질환을 미리 관리하는 것이 권장된다.
신체 다른 관절에 비해 움직임이 많은 편인 무릎관절은 퇴행성관절염이 빠르게 찾아오는 경향이 있다. 무릎뼈 끝에 자리한 연골이 점차 손상되면 뼈끼리 서로 충돌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극심한 무릎통증 및 부종, 다리 모양 변형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무릎 연골은 한 번 손상되면 스스로 재생되는 것이 어렵고, 병변 부위가 점차 넓어지게 되므로 가급적 빠른 대처가 필요하다. 경미한 손상은 약물복용 및 물리치료, 주사 요법 등을 진행해 호전을 기대한다.
또한 다리의 근력을 강화하는 운동을 통해 무릎관절의 부담을 줄여주는 방식도 도움이 된다병변 부위가 크다면 미세천공술 또는 카티스템 수술을 적용할 수 있다.
이 방식들은 무릎연골을 재생시키는 수술로써 카티스템 수술은 수술 후 1년 이내에 손상 부위에 개선이 나타난다. 그렇지만 질환이 오랫동안 방치돼 연골의 대부분이 사라지고, 뼈 손실까지 나타났다면 연골 재생 수술 적용이 어려울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무릎에 인공관절을 삽입하는 수술도 고려된다. 무릎 인공관절 수술 후에는 체계적인 재활 과정을 통해 무릎 관절의 강직을 예방하고 가동 범위를 확보해야 한다. 재활은 초기 6주가 중요하며, 보행 능력 회복을 위한 다리 근력 강화 과정도 포함된다.
(* 이 칼럼은 잠실 선수촌병원 김상범 원장의 기고입니다.)
제주교통복지신문, TW News